2013년 적용
건설신기술 품셈
2013. 8
국 토 교 통 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 목 차 -
제1장 총칙
1-1 목 적
1-2 적용범위
1-3 적용방법
1-4 재료 및 자재의 단가
1-5 재료의 할증률
1-6 공구손료 및 잡재료
1-7 노임
1-8 노임의 할증
1-9 품의 할증
1-10 소운반
1-11 작업반장
제2장 건설신기술 품셈
제672호. 일체형 강재거푸집을 이용한 RC보강 파형강판 구조물 건설공법
제673호. 전단보강재를 삽입한 복합강관 압력식 네일링공법
제674호. 연속섬유보강토를 이용하여 훼손지 및 하천호안의 지형을 복구하고
식생을 복원하는 기술
제676호. BOX형 외벽 단열갱폼을 이용한 한중콘크리트 보온양생공법
제677호. PVC발포폼을 이용한 단열보완형 복합방수공법(KD-E시스템)
제678호. 가압지보 시스템을 이용한 비개착식 터널공법(PSTM)
제680호. 개질재 주입장치를 이용한 중온 폼드 개질아스팔트 혼합물
제조공법
제681호. 삼각트러스 형태 전이프레임을 활용한 중저층 건축물 리모델링 기초
공법(BTFM:Balanced Transfer remodeling Foundation Method)
제683호. 전면주입구가 형성된 튜브형 강관을 이용한 록볼트 시공기술
제684호. 천공과 설치가 동시에 가능하도록 스크류를 부착한 소구경
강관말뚝 공법
제685호. 고성능 분체혼화재 및 조기강도형 알칼리프리계 급결제를 사용한
고성능 습식 숏크리트 공법
제686호. 다수의 커플러가 무용점으로 고정된 연결유닛을 이용 한 철근 이음
공법
제689호. 연ㆍ경암에서 두부 및 정착부 확공을 이용한 지압형 영구앵커 공법
(확공지압형 앵커)
제690호. 미리 제작된 고강도 콘크리트 접합블록을 접합단부로 사용하는
PSC-I형 분절거더(SegBeam) 제작방법
제692호. 유사연성 섬유시트와 롤러 및 가열기로 구성된 함침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
제693호. 비탈면 및 하천호안의 생태복원을 위한 셀룰로오스 네트화이버
부산물을 재활용한 식생기반재 취부기술(SUPERGEL SYSTEM)
제694호. 배기 기능의 포트와 시공 모니터링 장비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의
에폭시 건식 보수공법
제695호. 도넛형 중공형성체를 이용한 이방향 중공슬래브(GB-SLAB)공법
제696호. 강봉의 연직방향 긴장시스템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강합성
라멘교 공법
제697호. 전자유도가열시스템을 사용한 강교량의 도장 제거 공법
제698호. 유공강판 보강요소를 활용한 프리플렉스합성형 일체식 단경간
교량건설공법(PIA공법)
제699호. 착탈식 방충제 고정장치 기술
제700호. 전단키와 연결철근을 활용한 중력식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모듈러
옹벽공법
제701호. 고성능 숏크리트에 화학반응 착색제를 이용한 경관조성물(View Rock)
시공방법
제702호. 다중해머를 이용한 역순환방식의 대구경 천공공법
(RCMH ; Reverse Circulation Multi Hammering)
제703호. 굽힘철근과 탄성소켓을 주요소로 하는 단위모듈러장치를 이용한
강관/PHC 말뚝머리 보강공법
제704호. BIM 기반 배근시공도 자동화 및 철근공사 관리시스템
|
제1장 총칙
적용기준
|
1-1 목 적
본 신기술 품셈은 정부 등 공공기관에서 건설신기술을 활용 시 건설공사의 적정한 예정가
격을 산정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는 참고자료이다.
1-2 적용범위
국가, 지방자치단체, 정부투자기관 및 위 기관의 감독과 승인을 요하는 기관에서는 본 신기
술 품셈을 건설공사 예정가격 산정의 참고자료로 활용한다.
1-3 적용방법
1. 건설신기술 공사의 예정가격 산정은 본 신기술 품셈을 활용한다.
2. 본 신기술 품셈에서 제시된 품은 일일 작업시간 8시간을 기준한 것이다. 다만, 항목별 품
셈에서 일일 작업시간이 표시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는 이를 우선 적용한다.
3. 본 품셈에서 명시되지 않는 사항은 각종 사업을 시행하는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정부
투자기관 등의 장의 책임하에 적정한 예정가격 산정 기준을 적의 결정하여 사용한다.
1-4 재료 및 자재의 단가
1. 건설재료 및 자재의 단가는 거래실계가격 또는 통계법 제4조의 규정에 의한 지정기관이
조사하여 공표한 가격, 감정가격, 유사한 거래실례가격, 견적가격을 기준하며, 적용순서는 국가
를당사자로하는계약에관한법률 시행규칙 제7조의 규정에 따른다.
2. 재료 및 자재단가에 운반비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구입장소로부터 현장까지의 운반
비를 계상할 수 있다.
1-5 재료의 할증률
공사용 재료의 할증률은 일반적으로 건설공사표준품셈 “1-9 재료의 할증률”에서 제시하는
기준 이내로 계상한다. 다만, 항목별 품셈에서 재료의 할증률이 표시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는
이를 우선 적용한다.
1-6 공구손료 및 잡재료
공구손료, 잡재료, 경장비 등의 손료는 일반적으로 건설공사표준품셈 “1-12 공구손료 및
잡재료 등” 에서 제시하는 기준 이내로 계상한다. 다만, 항목별 품셈에서 공구손료 및 잡재료,
경장비 등의 손료가 표시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는 이를 우선 적용한다.
1-7 노임
노임은 관계법령의 규정에 따른다.
1-8 노임의 할증
근로시간을 벗어난 시간외, 야간 및 휴일의 근무가 불가피한 경우에는 근로기준법 제50조,
제56조, 유해 위험작업인 경우 산업안전보건법 제46조에 정하는 바에 따른다.
1-9 품의 할증
품의 할증은 필요한 경우, 건설공사표준품셈 “1-16 품의 할증”에서 제시하는 기준 이내로
계상한다. 다만, 항목별 품셈에서 품의 할증률이 표시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는 이를 우선 적용
한다.
1-10 소운반
소운반은 건설공사표준품셈 “1-22 소운반의 운반거리”에서 제시하는 기준에 따른다.
1-11 작업반장
작업반장의 계상은 건설공사표준품셈 “1-17 작업반장”에서 제시하는 기준에 따른다.
|
제2장
건설신기술품셈
지정번호별
|
제672호 : 일체형 강재거푸집을 이용한 RC보강 파형강판 구조물 건설공법 |
|
시공절차 및
주요공정 |
파형강판 설치 → 보강플레이트 설치(L앵커 조립→ 철근가공조립→ 강
재거푸집 설치) → 콘크리트 주입 → PE SHEET 방수 |
신기술 품 |
1. 파형강판 설치 |
구 분 |
명 칭 |
규 격 |
단 위 |
수 량 |
인력 |
철판공 |
|
인 |
1.159 |
보통인부 |
|
인 |
0.133 |
장비 |
크레인 |
25ton |
hr |
0.211 |
발전기 |
25kw |
hr |
0.228 |
[주] 본 품은 파형강판 현장설치를 기준한 것으로 재료비는 별도 계상한다.
|
2. 보강 플레이트 설치 |
구 분 |
명 칭 |
규 격 |
단 위 |
수 량 |
인력 |
철판공 |
|
인 |
1.100 |
보통인부 |
|
인 |
0.024 |
장비 |
크레인 |
25ton |
hr |
0.200 |
발전기 |
25kw |
hr |
0.222 |
[주] 본 품은 보강플레이트 현장설치를 기준한 것으로 L앵커조립, 철근배근, 강재거푸집
설치를 포함한 것이다. |
3. 콘크리트 주입
☞ 표준품셈 [토목 6-1-2 콘크리트 펌프차 타설] 참조 |
4. PE Sheet 방수 |
구 분 |
명 칭 |
규 격 |
단 위 |
수 량 |
재료 |
철sheet 방수지 |
|
㎡ |
1.2 |
방수층 보호재 |
|
㎡ |
1.2 |
연료 |
LPG |
kg |
0.8 |
아스팔트 프라이머 |
|
L |
0.3 |
인력 |
방수공 |
25ton |
인 |
0.1 |
보통인부 |
25kw |
인 |
0.06 |
[주] ① 본 품은 바탕정리, 프라이머 바름, 방수층 보호재 깔기, PE Sheet 부착의 작업을 포함한 것
이다.
② 본 품은 재료할증이 포함되어 있다. |
|
|
제673호 : 전단보강재를 삽입한 복합강관 압력식 네일링공법 |
시공절차 및
주요공정 |
천공 → 복합강관 제작 및 설치 → 그라우팅 → 지압판 및 너트 설치 |
신기술 품 |
1. 천공
☞ 표준품셈 [토목 3-9/1.작업능력, 2.천공] 참조 |
2. 복합강관 제작 및 설치 |
(m당) |
구 분 |
단 위 |
수 량 |
중급기술자 |
인 |
0.003 |
특별인부 |
인 |
0.034 |
보통인부 |
인 |
0.043 |
|
3. 그라우팅
☞ 표준품셈 [토목 3-9/4.그라우팅] 참조 |
4. 지압판 및 너트 설치 |
(공당) |
구 분 |
규 격 |
단 위 |
수 량 |
플레이트 |
200×200×9 |
개 |
1.0 |
너트 |
- |
개 |
1.0 |
보통인부 |
|
인 |
0.02 |
|
|
|
제674호 : 연속섬유보강토를 이용하여 훼손지 및 하천호안의 지형을 복구하고 식생을
복원하는 기술 |
시공절차
및
주요공정 |
지오화이바 보강토공 설치 → 이면배수공 → 플레이트 앵커삽입 →원지반 식생정착공 |
신기술 품 |
1. 지오화이바 보강토공 설치 |
(㎡당) |
구 분 |
규 격 |
단 위 |
수 량 |
T=30㎝ |
T=20㎝ |
재료 |
유기블록 |
20×10×10 |
개 |
3.000 |
3.000 |
보강토 |
|
㎥ |
0.468 |
0.312 |
연속섬유 |
|
kg |
1.237 |
0.825 |
일반기계운전사 |
|
인 |
0.027 |
0.017 |
인력 |
특별인부 |
|
인 |
0.058 |
0.040 |
보통인부 |
|
인 |
0.165 |
0.110 |
장비 |
취부기 |
18.65kW |
hr |
0.214 |
0.141 |
실사출기 |
4nozzle |
hr |
0.214 |
0.141 |
초고압펌프 |
200kg/㎠ |
hr |
0.214 |
0.141 |
벨트콘베이어 |
3.73kW |
hr |
0.214 |
0.141 |
공기압축기 |
21㎥/min |
hr |
0.214 |
0.141 |
발전기 |
50kW |
hr |
0.214 |
0.141 |
물탱크 |
5,500ℓ |
hr |
0.214 |
0.141 |
타이어로더 |
1.34㎥ |
hr |
0.214 |
0.141 |
드릴웨곤 |
7.4m㎥/min |
hr |
0.214 |
0.141 |
|
[주]① 본 품은 연속섬유보강토를 이용하여 식생을 복원하는 기술에 적용한다.
② 본 품은 두께 T=30㎝(무토양지), T=20㎝(호안)에 지오화이바 보강토를 조성하는
기준이다.
③ 본 품은 재료할증이 포함되어 있다.
④ 본 품은 면고르기가 제외되어 있으므로 필요시 별도 계상한다. |
2. 이면배수공 |
(㎡당) |
구 분 |
규 격 |
단 위 |
수 량 |
이면배수재 |
W300×L1000 |
m |
1.050 |
앵커핀 |
D19×L200 |
개 |
2.0 |
특별인부 |
|
인 |
0.013 |
보통인부 |
|
인 |
0.006 |
|
[주]① 중앙집중식 배수고 등 배수를 목적으로 하는 암거공사나 연약지반의 보강을 위
해 앵커공사를 수행할 경우 별도 계상한다.
② 본 품은 재료할증이 포함되어 있다.
③ 유공관은 제외되어 있으며 필요시 별도계상한다. |
3. 플레이트 앵커삽입 |
(본당) |
구 분 |
규 격 |
단 위 |
수 량 |
토사 |
암반 |
플레이트부착앵커 |
D19×L1200 |
본 |
1.0 |
|
플레이트부착앵커 |
D19×L800 |
본 |
|
1.0 |
특별인부 |
|
인 |
0.127 |
0.098 |
보통인부 |
|
인 |
0.085 |
0.064 |
|
[주]① 중앙집중식 배수고 등 배수를 목적으로 하는 암거공사나 연약지반의 보강을 위
해 앵커공사를 수행할 경우 별도 계상한다.
② 본 품은 재료할증이 포함되어 있다.
③ 유공관은 제외되어 있으며 필요시 별도 계상한다. |
4. 원지반 식생 정착공 |
(㎡당) |
구 분 |
명 칭 |
규 격 |
단 위 |
수 량 |
재료 |
종자 |
10종 이상 |
kg |
0.066 |
고분자수지 |
|
kg |
0.150 |
생육보조재 |
CODRA40 |
ℓ |
33.00 |
부착망 |
아연도금, 50×50 |
㎡ |
1.300 |
지오핀 |
L200 |
개 |
2.000 |
인력 |
일반기계운전사 |
|
인 |
0.004 |
특별인부 |
|
인 |
0.026 |
보통인부 |
|
인 |
0.034 |
장비 |
물탱크 |
5,500ℓ |
hr |
0.010 |
덤프트럭 |
8ton |
hr |
0.010 |
트럭탑재형크레인 |
5ton |
hr |
0.010 |
콘크리트믹서 |
0.3㎥ |
hr |
0.010 |
취부기 |
11.94kW |
hr |
0.010 |
|
[주] ① 본 품은 부착망 설치 및 취부작업을 포함한 것이다.
② 본 품은 재료할증이 포함되어 있다. |
|
|
제676호 : BOX형 외벽 단열갱폼을 이용한 한중콘크리트 보온양생공법 |
시공절차
및
주요공정 |
단열거푸집 공장제작(단열갱폼제작 및 경질우레탄폼 부착) → 거푸집 현
장 설치 및 해체 → 콘크리트 타설 → 콘크리트 보양 |
신기술 품 |
1. 단열거푸집 공장제작
1) 단열갱폼 공장제작
[주] ① 단열갱폼은 공장제작을 기준한 것으로 별도 계상한다.
② 단열갱폼 손율은 별도 계상한다.
2) 경질우레탄폼 공장부착
|
(㎡당) |
구 분 |
규 격 |
단 위 |
수 량 |
경질우레탄폼 |
비중 0.035,
T=30㎜ |
㎡ |
1.1 |
형틀목공 |
|
인 |
0.03 |
|
[주] ① 본 품은 단열갱폼 외부에 경질우레탄폼 1회 부착을 기준한 것이다.
② 경질우레탄폼의 손율을 별도 계상한다.
③ 본 품은 재료의 할증이 포함되어 있다. |
2. 단열거푸집 현장 설치/해체
☞ 표준품셈 관련항목[건축 6-3-6 갱폼 조립해체] 참조
3. 콘크리트 타설
☞ 표준품셈 관련항목[건축 6-1-2 콘크리트펌프차 타설] 참조
4. 보온양생 |
(10㎡당) |
구 분 |
단 위 |
수 량 |
보통인부 |
인 |
0.07 |
제잡비
(양생재료,기구손료) |
% |
41 |
|
|
|
제677호 : PVC발포폼을 이용한 단열보완형 복합방수공법(KD-E시스템) |
시공절차
및
주요공정 |
바탕정리 → KD-E 시트시공 → 접합부 및 모서리보강 → 폴리우레탄
도포 → 탑코트 도포 |
신기술 품 |
1. 바탕정리
☞ 표준품셈 관련항목[건축부문 12-1 바탕처리] 참조
2. KD-E 시트시공 |
(㎡당) |
구 분 |
명 칭 |
단 위 |
수 량 |
재료 |
KD-E시트 |
㎡ |
1.06 |
KD-접착제 |
㎏ |
0.4 |
인력 |
방수공 |
인 |
0.0166 |
보통인부 |
인 |
0.01 |
|
[주] ① 본 품은 PVC발포폼을 이용한 단열보완형 복합 방수공법으로 KD-E시트의 노
출형 및 비노출형 바닥시공을 기준한 것이다.
② 본 품은 재료의 할증이 포함되어 있다.
3. 접합부 및 모서리보강 |
(㎡당) |
구 분 |
명 칭 |
단 위 |
수 량 |
재료 |
접합부보강테잎 |
m |
0.8 |
접합부씰란트 |
㎏ |
0.4 |
프라이머 |
㎏ |
0.01 |
보강포 |
㎡ |
0.35 |
인력 |
방수공 |
인 |
0.0166 |
보통인부 |
인 |
0.01 |
|
[주] 본 품은 재료의 할증이 포함되어 있다.
|
4. 폴리우레탄 도포 |
(㎡당) |
구 분 |
명 칭 |
단 위 |
수 량 |
노출형 |
비노출형 |
재료 |
폴리우레탄 |
㎏ |
1 |
1.15 |
인력 |
방수공 |
인 |
0.01 |
0.01 |
보통인부 |
인 |
0.01 |
0.01 |
|
[주] ① 본 품은 1회도포 두께 0.7㎜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2회까지 적용가능하다.
② 소비자가 미끄럼 방지를 요구할 경우 규사를 혼합해 사용할 수 있다.
③ 비노출형은 타르우레탄 기준이다.
④ 본 품은 재료의 할증이 포함되어 있다.
|
5. 탑코트 도포 |
(㎡당) |
구 분 |
명 칭 |
단 위 |
수 량 |
재료 |
Top-coat |
㎏ |
0.3 |
인력 |
방수공 |
인 |
0.0066 |
보통인부 |
인 |
0.01 |
|
[주] ① 본 품은 비노출형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② 탈기반 수량은 현장여건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③ 본 품은 재료의 할증이 포함되어 있다. |
|
|
|
제678호 : 가압지보 시스템을 이용한 비개착식 터널공법(PSTM) |
시공절차
및
주요공정 |
직천공 강관다단 그라우팅 → 단계별 내부굴착 → 숏크리트 타설(막장면)
→ 강지보 설치(바닥→측면→상부) → 가압백 설치 및 가압백 그라우팅
→ 강지보 사이 숏크리트 타설 |
신기술 품 |
1. 강지보 설치
☞ 표준품셈 [토목 5-3-2 H-BEAM 설치 및 철거] 참조.
2. 가압백 설치 및 그라우팅
가. 기계기구 설치
☞ 표준품셈 [토목 20-1-1 기계기구설치] 참조.
나. 플랜트 설치/해체
☞ 표준품셈 [토목 5-5 고압분사 주입공법, 1. 플랜트 조립/해체] 참조.
다. 가압그라우팅 |
(㎡당) |
구 분 |
명 칭 |
규 격 |
단 위 |
수 량 |
재료 |
시멘트 |
|
kg |
760 |
에폭시주사기 |
|
개 |
0.3 |
인력 |
중급기술자 |
|
인 |
0.3 |
특별인부 |
|
인 |
0.4 |
보통인부 |
|
인 |
1.0 |
장비 |
그라우팅 펌프 |
30~60L/min |
hr |
0.3 |
그라우팅 믹서 |
190L |
hr |
1.0 |
|
[주] ① 본 품은 H형 지보 배면에 가압백을 설치 시 적용한다.
② 가압백의 수량은 설계수량에 따른다.
③ 본 품은 재료의 할증(3%)이 포함된 것이다. |
|
|
|
제681호 : 삼각트러스 형태 전이프레임을 활용한 중저층 건축물 리모델링 기초 공법
(BTFM : Balanced Transfer remodeling Foundation Method) |
시공절차
및
주요공정 |
기초터파기→ 소구경 말뚝천공→ 마이크로파일 설치→ 철골(전이프레임)
공사 → 철근콘크리트 기초공사 |
신기술 품 |
1. 기초터파기
☞ 표준품셈 [건축 3-1-3 터파기] 참조
2. 소구경 말뚝천공
☞ 표준품셈 [건축 5-3-4 어스앵커공법에 의한 흙막이판 버팀/1.작업능력, 2.천공] 참조
3. 마이크로파일 설치
☞ 표준품셈 [건축 5-3-4 어스앵커공법에 의한 흙막이판 버팀/3.PC강선
가공조립?삽입 및 4.그라우팅) 참조
4. 철골(전이프레임)공사
가. 소요수량 |
(개소당) |
명 칭 |
규 격 |
단 위 |
수 량 |
4지점 |
5지점 |
6지점 |
용접구조용압연강판 |
SM490, 40mm |
ton |
0.343 |
0.398 |
0.455 |
용접구조용압연강판 |
SM490, 80mm |
ton |
0.166 |
0.316 |
0.354 |
철골가공조립 |
Built up,
30ton미만 |
ton |
0.464 |
0.6518 |
0.7366 |
강판용접(Built) |
20m미만(m/t),
30ton미만 |
ton |
0.464 |
0.6518 |
0.7366 |
녹막이페인트(뿜칠) |
1회,2종 |
㎡ |
2.474 |
3.232 |
3.666 |
|
나. 철골가공조립
☞ 표준품셈 [건축 7-1-1 기본철골공수 및 7-1-2 철골공수 산정방법] 참조
다. 강판용접
☞ 표준품셈 [건축 7-1-3 용접] 참조
라. 녹막이페인트(뿜칠)
☞ 표준품셈 [건축 18-4 녹막이페인트칠 ‘1회’] 참조
5. 철근콘크리트 기초공사
☞ 표준품셈 [건축 6-1 콘크리트, 6-2 철근, 6-3 거푸집]참조 |
|
|
|
제683호 : 전면주입구가 형성된 튜브형 강관을 이용한 록볼트 시공기술 |
시공절차
및
주요공정 |
설치준비 → 천공 → 공내청소 → 정착 → 이동 및 기타 |
신기술 품 |
1. 설치준비
☞ 표준품셈 [토목 15-3-1 터널굴착 1발파당 싸이클 시간] 참고
2. 천공
☞ 표준품셈 [토목 15-3-1 터널굴착 1발파당 싸이클 시간] 참고
3. 공내청소
☞ 표준품셈 [토목 15-3-1 터널굴착 1발파당 싸이클 시간] 참고
4. 정착
☞ 표준품셈 [토목 15-3-1 터널굴착 1발파당 싸이클 시간] 참고
[주] ① 본 품은 록볼트(D48×4m)의 수압에 의한 정착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고수압 팽창을 위한 장비(압력펌프-3.5㎥/min)의 손료 산정기준은 표준품셈 제11
장 기계경비(분류번호 : 5205-0035/공기압축기(이동식)-3.5㎥/min)을 적용한다.
5. 이동 및 기타
☞ 표준품셈 [토목 15-3-1 터널굴착 1발파당 싸이클 시간] 참고 |
|
제684호 : 천공과 설치가 동시에 가능하도록 스크류를 부착한 소구경 강관말뚝 공법 |
시공절차
및
주요공정 |
Screw Pile 제작 → 천공 및 설치 → 그라우팅 → 두부정리 및 Plate 설치 |
신기술 품 |
1. Screw Pile 제작 |
(m당) |
구 분 |
단 위 |
수 량 |
보통인부 |
인 |
0.05 |
밴딩머쉰공 |
인 |
0.56 |
마 킹 공 |
인 |
0.32 |
밀 링 공 |
인 |
0.48 |
방전절단공 |
인 |
0.46 |
용 접 공 |
인 |
0.80 |
태 핑 공 |
인 |
0.64 |
제품검사공 |
인 |
0.10 |
|
[주] 제작 방식에 따른 소요자재는 별도 계상한다.
2. 천공 및 설치
☞ 표준품셈 [토목 5-3-4 1. 작업능력 및 2.천공] 참조
[주] ① 본 품은 ø105mm 천공을 기준한 것이다.
② 본 품의 적용시 건물 내부 등에서 작업을 할 경우에는 작업공간이 협소하
여 일반보링 장비의 사용이 불가능할 경우 SAP공법의 특수천공장비인
FM-40과 SRE-50 천공장비를 사용한다.
③ 장비운반 및 슬라임 처리비용은 별도 계상한다.
3. 그라우팅
☞ 표준품셈 [토목 3-9/4.그라우팅] 참고
4. 두부정리 및 Plate 설치 |
(㎡당) |
|
[주] 본 품은 가스용접을 기준한 것이다. |
|
|
|
제685호 : 고성능 분체혼화재 및 조기강도형 알칼리프리계 급결제를 사용한 고성능 습
식 숏크리트 공법 |
시공절차
및
주요공정 |
숏크리트 생산(알칼리프리계 고성능) → 숏크리트 타설 |
신기술 품 |
1. 숏크리트 생산(알칼리프리계 고성능)
가. 숏크리트 배합비 |
(㎡당) |
구 분 |
규 격 |
단 위 |
수 량 |
시멘트 |
bulk(무포장) |
kg |
465.12 |
분체혼화재 |
숏크리트용
(Roadcon HPA) |
kg |
24.48 |
모래 |
현장 |
kg |
1,206.70 |
자갈 |
13mm |
kg |
621.09 |
급결제 |
알칼리프리계
(Roadcon-LF5000) |
kg |
38.76 |
유동화제 |
폴리카르본산계
(Roadcon-PEMA-SR3000) |
kg |
7.34 |
강섬유 |
Φ0.5 × 30mm |
kg |
42 |
|
[주] 본 품은 재료의 할증이 포함되어 있다.
나. 숏크리트 배합 |
(㎡당) |
구 분 |
규 격 |
단 위 |
수 량 |
보통인부 |
- |
인 |
0.008 |
배치플랜트 |
60㎥/h |
hr |
0.064 |
발전기 |
100kW |
hr |
0.064 |
|
2. 알칼리프리계 고성능 숏크리트 타설
☞ 표준품셈 [(토목부문 ‘6-1-2 콘크리트 펌프차 타설’), (토목부문 ‘15-3-1
터널굴착 1발파당 사이클 시간, 주기⑩ 뿜어붙이기’)] 참조 |
|
|
|
제686호 : 다수의 커플러가 무용점으로 고정된 연결유닛을 이용 한 철근 이음 공법 |
시공절차
및
주요공정 |
다수의 커플러가 무용접으로 고정된 연결유닛을 이용한 철근이음 →
콘크리트 타설 및 거푸집 제거 → 이음 철근 나사 이음 |
신기술 품 |
1. 다수의 커플러가 무용접으로 고정된 연결유닛을 이용한 철근 이음 |
(㎡당) |
구 분 |
철 근
(Kg) |
수 량 |
철근규격 |
철근배열 |
철근간격 |
철근공(인) |
보통인부(인) |
D-13 |
1열 |
150mm |
3.141 |
0.0087 |
0.0033 |
200mm |
2.243 |
0.0062 |
0.0033 |
2열 |
150mm |
6.282 |
0.0173 |
0.0065 |
200mm |
4.487 |
0.0124 |
0.0047 |
D-16 |
1열 |
150mm |
6.060 |
0.0167 |
0.0063 |
200mm |
4.329 |
0.0119 |
0.0045 |
2열 |
150mm |
12.121 |
0.0335 |
0.0126 |
200mm |
8.658 |
0.0239 |
0.0090 |
|
[주] ① 본 품은 다수의 커플러가 무용접으로 고정된 연결유닛을 이용하여 철근 이
음하는 품이다.
② 본 품은 정착철근(철근콘크리트용 봉강)의 중량 기준이다.
2. 콘크리트 타설 및 거푸집 제거 3. 이음 철근 나사 이음
☞ 표준품셈 [토목부문 6-1 콘크리트, 6-2 철근, 6-3 거푸집] 참조 |
|
|
|
제689호 : 연ㆍ경암에서 두부 및 정착부 확공을 이용한 지압형 영구앵커 공법
(확공지압형 앵커) |
시공절차
및
주요공정 |
천공 → 정착부 확공 → 두부 확공 → 앵커체 삽입 → 인장(지압판 설
치 포함) → 그라우팅 |
신기술 품 |
1. 천공, 2. 정착부 확공, 3. 두부 확공
☞ 표준품셈 [토목 3-9 1.작업능력/2.천공] 참조
4. 앵커체 삽입
☞ 표준품셈 [토목 3-9 3.보강재 설치] 참조
5. 인장
☞ 표준품셈 [토목 5-3-4 어스앵커 공법에 의한 흙막이판 버팀] 참조
6. 그라우팅
☞ 표준품셈 [토목 3-9 4.그라우팅] 참조 |
|
제690호 : 미리 제작된 고강도 콘크리트 접합블록을 접합단부로 사용하는 PSC-I형
분절거더(SegBeam) 제작방법 |
시공절차
및
주요공정 |
1. 접합블록 제작
① 접합블록 철근가공 조립 → ② 접합블록 거푸집 조립 → ③ 접합블록 쉬즈관 조
립설치(φ80mm, φ93mm) → ④ 접합블록 콘크리트 타설 → ⑤ 접합블록 증기양생
2. 세그먼트 제작
⑥ SOFFIT PLATE 제작 및 설치 → ⑦ 본체 철근 가공조립 → ⑧ 본체 쉬즈관 조
립설치(φ80mm, φ93mm) → ⑨ 커플러 가공 및 설치 → ⑩ 강가로보용 구조용 강관
→ ⑪ 세그먼트 인양고리용 PC STRAND 가공조립 → ⑫ 본체 강재 거푸집
(T=6.0mm) → ⑬ 스페이셔 설치(슬래브 및 기초) → ⑭본체 콘크리트 타설
3. 세그먼트 양생 및 야적
⑮ 본체 증기양생 → ? 쉬스관 보호호스 설치해체(φ80mm, φ93mm) → ? SOLE
PLATE 공장용접 → ? PC STRAND 가공조립 → ? PC STRAND 정착공 (15가
닥용, 19가닥용) |
신기술 품 |
1. 접합블록 제작
☞ ① 접합블록 철근가공 조립 : 표준품셈 [토목 6-2-1 현장가공 및 조립] 참조
☞ ② 접합블록 거푸집 조립 : 표준품셈 [토목 6-3-4 강재 거푸집] 참조
☞ ③ 접합블록 쉬즈관 조립설치 : 표준품셈 [토목 6-5-1 PSC BOX 설치/3.쉬즈
조립설치] 참조
☞ ④ 접합블록 콘크리트 타설 : 표준품셈 [토목 6-1-1 콘크리트
타설/1.레디믹스트콘크리트 타설] 참조
⑤ 접합블록 증기양생 |
(본당) |
구 분 |
명 칭 |
규 격 |
단 |
수 량 |
재료 |
연료
양생시트 |
벙커C유
polyester |
L/hr
㎡ |
983.32
197 |
인력 |
양생공
보일러공 |
|
인
인 |
1.0
0.5 |
|
[주] ① 본 품은 접합불록(거푸집 8조기준 : 길이(11.5m), 폭(7.3m), 높이(2.4m))
8개를 동시에 증기양생하는 품이며, 양생시간은 13시간을 기준으로 한다.
② 양생시트는 20회 사용을 기준으로 한다.
|
2. 세그먼트 제작
☞ ⑥ SOFFIT PLATE 제작 및 설치
표준품셈 [건축 14-6 각종 잡철물 제작 설치] 참조
☞ ⑦ 본체 철근 가공조립
표준품셈 [토목 6-2-1 현장가공 및 조립] 참조
☞ ⑧ 본체 쉬즈관 조립설치
표준품셈 [토목 6-5-1 PSC BOX 설치 3. 쉬즈 조립설치] 참조
⑨ 커플러 가공 및 설치 |
(본당) |
|
[주] ① 본 품은 커플러를 가공 및 설치하는 품이다.
② 자재비는 별도 계상한다.
☞ ⑩ 강가로보용 구조용 강관
노무비는 재료비의 5%로 계상한다.
☞ ⑪ 세그먼트 인양고리용 PC STRAND 가공조립
표준품셈 [토목 6-2-1 현장가공 및 조립]참조
☞ ⑫ 본체 강재 거푸집
표준품셈 [토목 6-3-4 강재 거푸집] 참조
☞ ⑬ 스페이셔 설치(슬래브 및 기초)
노무비는 재료비의 5%로 계상한다.
☞ ⑭ 본체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표준품셈 [토목 6-1-1 콘크리트 타설/1. 레디믹스트콘크리트 타설] 참조
3. 세그먼트 양생 및 야적
⑮ 본체 증기양생 |
(본당) |
구 분 |
명 칭 |
규 격 |
단 위 |
수 량 |
재료 |
연료
양생시트 |
벙커C유
polyester |
L/hr
㎡ |
983.32
464 |
인력 |
양생공
보일러공 |
|
인
인 |
1.0
0.5 |
|
[주] ① 본 품은 세그먼트(5개 :길이(60m), 폭(1.7m), 높이(2.7m))증기양생하는
품이며, 양생시간은 13시간을 기준으로 한다.
② 양생시트는 20회 사용을 기준으로 한다.
|
☞ ? 쉬스관 보호호스 설치해체
표준품셈 [토목 6-5-1 PSC BOX 설치/5. 쉬즈 보호호스 설치 및 해체] 참조
☞ ? SOLE PLATE 공장용접
표준품셈 [건축 14-6 각종 잡철물 제작 설치] 참조
☞ ? PC STRAND 가공조립
표준품셈 [토목 6-5-1 PSC BOX 설치/1. 강연선 조립설치] 참조
☞ ? PC STRAND 정착공
표준품셈 [토목 6-5-1 PSC BOX 설치/2. 정착구 설치] 참조 |
|
|
|
제692호 : 유사연성 섬유시트와 롤러 및 가열기로 구성된 함침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보강공법 |
시공절차
및
주요공정 |
표면처리 → 프라이머 도포 → 유사연성 섬유시트 함침 및 부착 → 코팅제 도포 |
신기술 품 |
1. 표면처리
☞ 표준품셈 [건축 12-1 바탕처리] 참고
[주] ① 본 품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보강을 위한 품이다.
② 본 품에는 준비, 청소, 정리품이 포함되어 있다.
2. 프라이머 도포
☞ 표준품셈 [건축 12-2 프라이머 바름] 참고
3. 유사연성 섬유시트 함침 및 부착692호)
가. 수동함침 |
(㎡당) |
구 분 |
명 칭 |
규 격 |
단 위 |
수 량 |
자재 |
유사연성
섬유시트 |
HFC |
㎡ |
1.1 |
섬유시트 함침제 |
SE |
kg |
0.92 |
인력 |
특별인부 |
|
인 |
0.02 |
보통인부 |
|
인 |
0.02 |
장비 |
함침기 |
2.3×0.7×1.3 |
hr |
0.196 |
발전기 |
25kW |
hr |
0.196 |
트럭탑재형크레인 |
5 ton |
hr |
0.196 |
|
[주] ① 본 품은 롤러 및 가열기로 구성된 함침기를 이용하여 유사연성 섬유시트를 현장에서 함침
하는 품이다.
② 함침기의 기계경비는 다음을 적용한다. |
시간당 손료(10-7) |
가 격(원) |
2,356 |
5,000,000 |
|
* 함침기의 운전인력은 별도 계상하지 않는다.
|
나. 부착 |
(㎡당) |
구 분 |
명 칭 |
규 격 |
단 위 |
수 량 |
자재 |
섬유시트
접착제 |
PRM50 |
kg |
0.3 |
인력 |
방수공 |
|
인 |
0.05 |
보통인부 |
|
인 |
0.03 |
|
[주] 본 품은 수직부 및 천정부 1겹 부착을 기준한 것이다.
|
4. 코팅제 도포 |
(㎡당) |
구 분 |
명 칭 |
규 격 |
단 위 |
수 량 |
자재 |
자외선 차단
코팅제 |
케어콘3380 |
kg |
0.4 |
인력 |
도장공 |
|
인 |
0.055 |
|
|
|
|
제693호 : 비탈면 및 하천호안의 생태복원을 위한 셀룰로오스 네트화이버 부산물을 재
활용한 식생기반재 취부기술(SUPERGEL SYSTEM) |
시공절차
및
주요공정 |
식생기반재 배합 → 식생기반재 뿜어붙이기 |
신기술 품 |
(㎡당) |
구 분 |
명 칭 |
규 격 |
단위 |
수 량 |
10mm
(무망) |
30mm
(무망) |
50mm
(무망) |
|
슈퍼겔 종자 |
목본,초본,야생화 |
g |
30 |
30 |
30 |
|
슈퍼겔 침식방지제 |
SG-1000 |
g |
10 |
30 |
50 |
|
슈퍼겔 입도조절제 |
SG-2000 |
ℓ |
0.5 |
1.5 |
2.5 |
|
슈퍼겔 녹화기반재 |
유기질 자연토양 |
ℓ |
- |
20 |
40 |
|
슈퍼겔 종자멀칭재 |
자연보습토양 |
ℓ |
10 |
10 |
10 |
|
슈퍼겔 법면안정재 |
법면안정재 |
ℓ |
- |
5 |
5 |
|
조경공 |
|
인 |
0.004 |
0.004 |
0.004 |
|
특별인부 |
|
인 |
0.006 |
0.007 |
0.008 |
|
기계설비공 |
|
인 |
0.004 |
0.004 |
0.004 |
|
보통인부 |
|
인 |
0.006 |
0.065 |
0.007 |
|
취부기 |
생태복원용 |
hr |
0.0128 |
0.0204 |
0.028 |
|
트럭탑재형 크레인 |
5ton |
hr |
0.004 |
0.012 |
0.028 |
|
물탱크 |
5,500L |
hr |
0.006 |
0.018 |
0.028 |
|
덤프트럭 |
6ton |
hr |
0.012 |
0.02 |
0.028 |
|
[주] ① 본 품은 비탈면 및 하천호안의 생태복원을 위한 셀룰로오스 네트화이버 부산
물을 재활용한 식생기반재 취부기술에 적용한다.
② 본 품에는 장비셋팅, 식생기반재 취부, 작업 후 해체정리 작업을 포함한다.
③ 면 고르기 및 망설치가 필요한 경우 별도 계상한다. |
|
|
|
제694호 : 배기 기능의 포트와 시공 모니터링 장비를 이용한 콘크리트 균열의 에폭시
건식 보수공법 |
시공절차
및
주요공정 |
표면처리 및 정리 → 고압세척작업 → 균열보수주입 → 보호제 도포 및
마감 |
신기술 품 |
1. 표면처리 및 정리 |
(㎡당) |
구 분 |
단 위 |
수 량 |
미장공 |
인 |
0.02 |
보통인부 |
인 |
0.02 |
|
[주] 본 품은 균열면의 조사 및 균열부위 정리를 포함한 품이다.
|
2. 고압세척작업 |
(㎡당) |
|
[주] 본 품은 고압세척기를 이용하여 현장의 시공면을 세정하는 품이다.
|
3. 균열보수주입 |
(㎡당) |
구 분 |
단 위 |
수 량 |
자재 |
마이티씰링처리제 |
kg |
0.44 |
인젝터 |
개 |
5.00 |
마이티균열보수제 |
kg |
2.50 |
인력 |
특별인부 |
인 |
0.10 |
보통인부 |
인 |
0.05 |
|
[주] ① 본 품은 균열부위에 씰링제를 시공하고 인젝터를 장착하여 균열보수제를 주
입하는 품이다.
② 모니터링 장비 및 균열보수장비에 대한 경비는 적용기준 “1-6 공구손료 및
잡재료 등” 의 기준에 따른다.
|
4. 보호제 도포 및 마감 |
(㎡당) |
구 분 |
단 위 |
수 량 |
자재 |
마이티COAT수지 |
kg |
0.62 |
인력 |
도장공 |
인 |
0.02 |
|
[주] 본 품은 표면보호를 위한 아크릴계수지를 도포하는 품이다. |
|
|
|
[주] 본 품은 표면보호를 위한 아크릴계수지를 도포하는 품이다. |
시공절차
및
주요공정 |
중공형성체 유닛 조립 → 거푸집 제작 → 횡방향 하부철근배근 → 중공
형성체 유닛 설치 → 횡방향 상부철근 배근 → 부력방지 → 콘크리트
타설 |
신기술 품 |
1. 4. 6 종공형성체 유닛 조립 및 설치, 부력방지 |
구 분 |
규 격 |
단 위 |
수량(SLAB 두께(cm)) |
T210 |
T250 |
T400 |
T650 |
철근공 |
- |
인 |
0.033 |
0.033 |
0.045 |
0.045 |
중공형성체 |
GB100 |
개 |
10 |
- |
- |
- |
GB140 |
- |
10 |
- |
- |
GB280 |
- |
- |
10 |
- |
GB420 |
- |
- |
- |
10 |
|
[주] 본 품은 중공형성체의 유닛조립 및 설치, 부력방지앵커 설치를 포함한 것이다.
|
2. 거푸집 제작
☞ 표준품셈 [건축 6-3 거푸집] 참조
3. 5 횡방향 하부 및 상부철근 배근
☞ 표준품셈 [건축 6-2-1 현장가공 및 조립] 참조
7. 콘크리트 타설
☞ 표준품셈 [건축 6-1-2 콘크리트 펌프차 타설] 참조
|
|
|
제696호 : 강봉의 연직방향 긴장시스템을 이용하여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 강합성 라멘교 공법 |
시공절차
및
주요공정 |
기초설치 → 설치대를 이용한 강봉설치 → 벽체시공 → 강재받침 설치
→ 강재거더 조립 및 가설 → 강재거더 연직긴장 → 거더관통 수평철근
및 절곡철근 배근
신기술 품
1. 기초설치/3.벽체시공/ |
신기술 품 |
1. 기초설치/3.벽체시공/5.강재거더 조립 및 가설/8.강재거더 도장
☞ 표준품셈 [토목 6장. 철근콘크리트, 17장. 철강 및 철골공사] 참조
2. 설치대를 이용한 강봉설치/6. 강재거더 연직긴장
☞ 표준품셈 [건축 14-6 각종 잡철물 제작설치/철물설치] 참조
[주] ① 본 품은 제작된 정착구와 정착장치 설치, 강재거더의 연직긴장을 위
한 품이다.
② 강봉설치를 위한 정착구 설치대 제작은 별도 계상한다.
③ 강봉설치를 위한 정착장치 제작은 별도 계상한다.
4. 강재받침 설치 |
(기당) |
소요일수 |
강재받침 높이 |
편 성 인 원 |
편 성 장 비 |
직종 |
수량(인) |
장 비 명 |
수량(대 |
0.2AN+2 |
0∼20m 미만 |
특별인부
보통인부 |
4.6
1.0 |
트럭크레인(25t) |
0.9 |
20∼50m 미만 |
특별인부
보통인부 |
5.5
1.2 |
트럭크레인(25t) |
1.1 |
50m 이상 |
특별인부
보통인부 |
6.9
1.5 |
트럭크레인(25t) |
1.4 |
비 고 |
- 본 품은 육상작업에 대한 품으로, 수상작업시에는 본 품의 50%를
가산한다.
- 강재받침 높이에 따른 할증은 다음을 따른다. |
|
20~50m 미만 |
50m 이상 |
할 증 률 (%) |
20 |
50 |
|
여기서, A : 1기당 강재받침의 중량에 의한 수정계수
N : 강재받침 설치 개수(基)
?수정계수(A) |
1기당
강재받침
중량(t) |
0.15 |
0.20 |
0.25 |
0.30 |
0.40 |
0.50 |
0.60 |
0.80 |
1.00 |
A |
0.15 |
0.38 |
0.59 |
0.77 |
1.00 |
1.14 |
1.24 |
1.36 |
1.43 |
비고 |
1 기 당 받 침 중 량 = 받침 총중량/받침 설치수 |
|
[주] ① 강재받침 중량에는 앵커볼트 중량이 포함된 것이다.
② 비계 및 발판, 난간 등은 별도 계상한다.
7. 거더관통 수평철근 및 절곡철근 배근
☞ 표준품셈 [토목 6-2-1 현장가공 및 조립] 참조 |
|
|
|
제697호 : 전자유도가열시스템을 사용한 강교량의 도장 제거 공법 |
시공절차
및
주요공정 |
바탕처리(평탄부) |
신기술 품 |
(㎡당) |
구 분 |
명 칭 |
규 격 |
단 위 |
수 량 |
외부 |
내부 |
인력 |
기계설비공 |
|
인 |
0.027 |
0.037 |
도장공 |
|
인 |
0.027 |
0.037 |
보통인부 |
|
인 |
0.027 |
0.037 |
장비 |
전자유도가열장비 |
RPR1650/냉각기 2.24kW |
hr |
0.22 |
0.29 |
발전기 |
50kW |
hr |
0.22 |
0.29 |
|
[주] ① 본 품은 전자유도가열장비를 사용하여 평탄부와 볼트 등 협소부의 도장을 제
거하는 품이다.
② 본 품은 보수도장시 강교의 외부 바탕처리(B급)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③ 전자유도가열장비의 기계경비는 다음 기준을 따른다.
규격 시간당 손율(10-7)
|
규격 |
시간당 손율(10-7) |
가 격(원) |
RPR1650/냉각기 2.24kW |
2,294 |
226,885,000 |
|
|
|
|
|
제698호 : 유공강판 보강요소를 활용한 프리플렉스합성형 일체식 단경간 교량건설공법
(PIA공법) |
시공절차
및
주요공정 |
교대부 굴착(성토, 절토부)시공 → 프리플렉스 합성형 제작 → 말뚝시공
(일렬말뚝 기초 (H파일 말뚝, 머리보강 : 캡형 유공강판 보강재 사용)) → 교대
시공(낮은 기초교대) → 프리플렉스 합성형 거치(교량받침 없음) → 상부
바닥판/벽체교대 동시타설 → 돌망태 무다짐 뒷채움 |
신기술 품 |
1. 교대부 굴착(성토, 절토부) 시공
☞ 표준품셈 [토목 3-1 굴착 및 10장. 기계화 시공] 참조
2. 프리플렉스 합성형 제작
☞ 표준품셈 [토목 6장 철근콘크리트 및 17장 철강 및 철골공사] 참조
3. 말뚝시공
1) 말뚝 천공
☞ 표준품셈 [토목 5-8 말뚝박기용 천공] 참조
[주] 천공을 위한 기계경비는 제11장 기계경비(분류번호 : 7101/고성능 착정
기/335.70kw)를 기준하며, 천공속도는 다음을 기준으로 한다.
|
(m당) |
구 분 |
규 격 |
단 위 |
토사 |
풍화암 |
연암 |
고성능 착정기 |
335.70kW |
hr |
0.49 |
0.72 |
0.53 |
|
2) 머리보강
☞ 표준품셈 [건축 14-6 잡철물 제작설치 ‘간단’] 참조
4. 교대시공
☞ 낮은 기초교대 : 표준품셈 [토목 6장 철근콘크리트] 참조
* 벽체교대의 경우 상부 바닥판과 동시타설 |
|
5. 프리플렉스 합성형 거치
☞ 표준품셈 [토목 6-6 교량 가설공] 참조
6. 바닥판/벽체교대 동시타설
☞ 표준품셈 [토목 6-1-1 콘크리트 타설 및 6-1-2 콘크리트 펌프차 타설] 참조
7. 돌망태 무다짐 뒷채움
☞ 표준품셈 [토목 13-5 돌망태형 옹벽]참조
[주] 재료량은 다음을 적용하며 본 재료량은 할증을 포함한 것이다 |
구 분 |
규 격 |
단 위 |
수 량 |
돌망태 |
아연도금 1m*1m*1m |
조 |
1.03 |
부직포 |
단섬유 부직포 |
㎡ |
9.2 |
|
|
|
|
제699호 : 착탈식 방충제 고정장치 기술 |
시공절차
및
주요공정 |
앵커볼 트 시공 → 가이드플레이트와 고무방충제 조립 → 부착(안벽 및
부잔교) |
신기술 품 |
1. 방충재 설치-부잔교 용(BP형) |
(set당)) |
구분 |
명칭 |
규격 |
단위 |
수 량 |
IPA-BP
200H*1000L |
IPA-BP
200H*2500L |
IPA-BP
300H*1000L |
방충재 조립 |
보통인부 |
|
인 |
0.28 |
0.36 |
0.28 |
지게차 |
3.5ton |
hr |
0.33 |
0.33 |
0.33 |
설치면 정리
및 취부 |
특별인부 |
|
인 |
0.02 |
0.02 |
0.02 |
보통인부 |
|
인 |
0.04 |
0.04 |
0.04 |
지게차 |
3.5ton |
hr |
0.33 |
0.33 |
0.33 |
부착 |
용접 |
용접공 |
|
인 |
0.25 |
0.25 |
0.25 |
지게차 |
3.5ton |
hr |
2 |
2 |
2 |
용접기 |
교류500Amp |
hr |
2 |
2 |
2 |
결합 및
고정핀
연결 |
보통인부 |
|
인 |
0.05 |
0.07 |
0.05 |
지게차 |
3.5ton |
hr |
0.41 |
0.57 |
0.41 |
|
[주] 본 품은 부잔교에 착탈식 고무방충재(BP형)를 시공하는 품이다.
2. 방충재 설치-부잔교 용(OV형) |
(set당)) |
구분 |
명칭 |
규격 |
단위 |
수 량 |
IPA-BP
200H*1000L |
IPA-BP
200H*2500L |
IPA-BP
300H*1000L |
방충재 조립 |
보통인부 |
|
인 |
0.20 |
0.36 |
0.20 |
지게차 |
3.5ton |
hr |
0.33 |
0.33 |
0.33 |
설치면 정리
및 취부 |
특별인부 |
|
인 |
0.02 |
0.02 |
0.02 |
보통인부 |
|
인 |
0.04 |
0.04 |
0.04 |
지게차 |
3.5ton |
hr |
0.33 |
0.33 |
0.33 |
부착 |
용접 |
용접공 |
|
인 |
0.25 |
0.25 |
0.25 |
지게차 |
3.5ton |
hr |
2 |
2 |
2 |
용접기 |
교류500Amp |
hr |
2 |
2 |
2 |
결합 및
고정핀
연결 |
보통인부 |
|
인 |
0.05 |
0.07 |
0.05 |
지게차 |
3.5ton |
hr |
0.41 |
0.57 |
0.41 |
|
[주] 본 품은 부잔교에 착탈식 고무방충재(OV형)를 시공하는 품이다.
|
3. 방충재 설치-안벽 용(BP형) |
(set당)) |
구분 |
명칭 |
규격 |
단위 |
수 량 |
IPA-BP
200H*2500L |
IPA-BP
300H*2000L |
IPA-BP
600H*2000L |
IPA-BP
800H*2000L |
앵커 |
M48 |
개 |
7 |
7 |
9 |
13 |
앵커볼트
시공 |
특별인부 |
|
인 |
0.63 |
0.63 |
0.81 |
1.17 |
코아드릴 |
15.24cm |
hr |
2.94 |
2.94 |
3.78 |
5.46 |
트럭탑재형
크레인 |
5ton |
hr |
5.25 |
5.25 |
6.75 |
9.75 |
방충재 조립 |
보통인부 |
|
인 |
0.36 |
0.36 |
0.36 |
0.36 |
지게차 |
3.5ton |
hr |
0.33 |
0.33 |
0.33 |
0.33 |
설치면 정리
및 취부 |
보통인부 |
|
인 |
0.04 |
0.04 |
0.04 |
0.04 |
트럭탑재형
크레인 |
5ton |
hr |
0.33 |
0.33 |
0.33 |
0.33 |
결합 및
고정핀연결 |
보통인부 |
|
인 |
0.21 |
0.19 |
0.25 |
0.35 |
트럭탑재형
크레인 |
5ton |
hr |
1.76 |
1.60 |
2.10 |
2.94 |
|
[주] 본 품은 안벽에 착탈식 고무방충재(BP형)를 시공하는 품이다.
4. 방충재 설치-안벽 용(OV형) |
|
(set당)) |
구분 |
명칭 |
규격 |
단위 |
수 량 |
IPA-BP
200H*2500L |
IPA-BP
300H*2000L |
IPA-BP
600H*2000L |
IPA-BP
800H*2000L |
앵커 |
M48 |
개 |
7 |
6 |
9 |
13 |
앵커볼트
시공 |
특별인부 |
|
인 |
0.63 |
0.54 |
0.81 |
1.17 |
코아드릴 |
15.24cm |
hr |
2.94 |
2.52 |
3.78 |
5.46 |
트럭탑재형
크레인 |
5ton |
hr |
5.25 |
4.5 |
6.75 |
9.75 |
방충재 조립 |
보통인부 |
|
인 |
0.36 |
0.36 |
0.36 |
0.36 |
지게차 |
3.5ton |
hr |
0.33 |
0.33 |
0.33 |
0.33 |
설치면 정리
및 취부 |
보통인부 |
|
인 |
0.04 |
0.04 |
0.04 |
0.04 |
트럭탑재형
크레인 |
5ton |
hr |
0.33 |
0.33 |
0.33 |
0.33 |
결합 및
고정핀연결 |
보통인부 |
|
인 |
0.21 |
0.17 |
0.25 |
0.35 |
트럭탑재형
크레인 |
5ton |
hr |
1.76 |
1.43 |
2.10 |
2.94 |
|
[주] 본 품은 안벽에 착탈식 고무방충재(OV형)를 시공하는 품이다. |
|
5. 착탈식 방충재 교체 |
(set당)) |
구 분 |
명 칭 |
규 격 |
단 위 |
수 량 |
고무방충재 |
|
BP 200H*2500L |
개 |
1 |
가이드 플레이트 분리 |
보통인부 |
|
인 |
0.05 |
지게차 |
3.5ton |
hr |
0.42 |
기존 고무방충재 제거 |
보통인부 |
|
인 |
0.04 |
지게차 |
3.5ton |
hr |
0.33 |
가이드 플레이트와 고무방충재 조립 |
보통인부 |
|
인 |
0.04 |
지게차 |
3.5ton |
hr |
0.33 |
가이드 플레이트와
베이스 플레이트 결합 |
보통인부 |
|
인 |
0.03 |
트럭탑재형
크레인 |
5ton |
hr |
0.25 |
상부 고정핀 연결 |
보통인부 |
|
인 |
0.04 |
트럭탑재형
크레인 |
5ton |
hr |
0.32 |
|
[주] ① 본 품은 기존설치 방충재를 현장에서 교체하는 것을 기준한 것이다.
② 본 품은 고무방충재 BP 200H*2500L을 기준한 것이다. |
|
|
|
제700호 : 전단키와 연결철근을 활용한 중력식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모듈러 옹벽공법 |
시공절차
및
주요공정 |
기초콘크리트 타설 → 콘크리트 양생 → PMR 옹벽설치 → 뒷채움 및
다짐 → 모듈러 옹벽 연결 |
신기술 품 |
1, 2 기초콘크리트 타설 및 콘크리트 양생
☞ 표준품셈[토목 6-1-2 콘크리트 펌프차 타설] 참조
3. PMR 옹벽설치
☞ 표준품셈[토목 3-6-1 보강토옹벽 패널식] 참조
[주] ① 본 품은 모듈러 옹벽(1.5m×1.5m×1.2m) 설치를 기준한 것이다.
② 본 품에는 보강재 설치와 배면 인력 흙 고르기 품이 포함되어 있다.
③ 재료량(모듈러 옹벽, 보강재, 채움재 등)은 설계 수량에 따른다.
④ 모듈러 옹벽 설치를 위한 장비는 트러탑재형 크레인 25톤(사용시간은
0.34시간/㎡)을 기준으로 한다.
4. 뒷채움 및 다짐
☞ 표준품셈[토목 10장 기계화시공] 참조
[주] 운전원을 제외한 작업인력은 3. PMR옹벽설치’에 포함되어 있다.
5. 모듈러 옹벽 연결
☞ 표준품셈[토목 3-9/4 그라우팅] 참조
[주] ① 본 품은 모듈러 옹벽의 몰탈충전을 위한 품이며, 소모재료는 설계수
량에 따라 계상한다.
② 모듈러 옹벽연결을 위한 철근가공 및 조립은 표준품셈 (토목 6-2-1
현장가공 조립 및 조립(보통))에 따른다.
|
|
제701호 : 고성능 숏크리트에 화학반응 착색제를 이용한 경관조성물(View Rock) 시공방법 |
시공절차
및
주요공정 |
철근가공조립 → 숏크리트 생산 및 타설(이동식 믹서기 생산) → 표면
처리 → 와이어매쉬 설치 → 구조용 고성능 숏크리트 생산 및 타설 →
디자인 및 조각 → 칼라링 및 코팅 |
신기술 품 |
1. 철근가공조립
☞ 표준품셈 [토목 6-2-1 현장가공 및 조립 ‘보통’ ] 참조
2. 숏크리트 생산 및 타설
가. 작업조 |
구 분 |
규 격 |
단 위 |
수 량 |
인력 |
콘크리트공 |
|
인 |
2 |
보통인부 |
|
인 |
4 |
특별인부 |
|
인 |
2 |
기계설비공 |
|
인 |
1 |
장비 |
굴삭기 |
0.8타이어 |
대 |
1 |
이동식 믹서기 |
7㎥ |
대 |
1 |
트럭탑재형 크레인 |
5ton |
대 |
1 |
물탱크 |
5ton |
대 |
1 |
콘크리트 펌프 |
12~15㎥/hr(22 kw) |
대 |
1 |
공기압축기 |
21㎥/min |
대 |
1 |
발전기 |
50kW |
대 |
1 |
|
나. 숏크리트 재료 |
(㎡당) |
구 분 |
규 격 |
단 위 |
수 량 |
시멘트 |
|
kg |
460 |
모래 |
|
kg |
944 |
자갈 |
13mm이하 |
kg |
512 |
AE제 |
|
kg |
0.16 |
유동화제 |
|
kg |
4.57 |
|
다. 작업능력 |
Q=q×E(1-손실률) (㎥/hr)
여기서, q : 뿜어붙임 기계의 능력 (㎥/hr) : 5.5㎥/hr 적용
E : 효율 (0.55)
손실률=�반발되어 떨어진 재료의 전중량(㎏) / 뿜어붙임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재료의 전중량(㎏)�×100% = 10% ~25% 범위에서 적용 |
|
|
3. 표면처리(고압수 세정) |
(㎡당) |
구 분 |
규 격 |
단 위 |
수 량 |
특별인부 |
|
인 |
0.024 |
|
[주] 본 품은 고압세정이 필요한 경우 계상한다.
4. 와이어 매쉬 설치 |
(㎡당) |
구 분 |
규 격 |
단 위 |
수 량 |
재료 |
와이어매쉬 |
#6,100*100 |
㎡ |
1.1 |
앵커 |
Ø16mm L=0.75m |
개 |
1.5 |
철선 |
#20 |
kg |
0.05 |
인력 |
특별인부 |
|
인 |
0.027 |
보통인부 |
|
인 |
0.007 |
장비 |
발전기 |
5kW |
hr |
0.023 |
|
5. 구조용 숏크리트 생산 및 타설
가. 작업조
☞ 2. 숏크리트 생산 및 타설 1) 작업조 적용
나. 구조용 고성능 숏크리트 재료
|
(㎡당) |
구 분 |
규 격 |
단 위 |
수 량 |
뷰락시멘트 |
|
kg |
460 |
모래 |
|
kg |
944 |
자갈 |
13mm이하 |
kg |
512 |
AE제 |
|
kg |
0.16 |
유동화제 |
|
kg |
4.57 |
|
다.) 작업능력 |
Q=q×E(1-손실률) (㎥/hr)
여기서, q : 뿜어붙임 기계의 능력 (㎥/hr) : 5.5㎥/hr 적용
E : 효율 (0.55)
손실률=�반발되어 떨어진 재료의 전중량(㎏) / 뿜어붙임 콘크리트에 사용되는 재료의 전중량(㎏)�×100% = 10% ~25% 범위에서 적용 |
|
6. 디자인 및 조각 |
(㎡당) |
구 분 |
단 위 |
수 량 |
특급기술자(디자인 분야) |
인 |
0.01 |
석조각공 |
인 |
0.15 |
미장공 |
인 |
0.05 |
보통인부 |
인 |
0.05 |
|
7. 칼라링 및 코팅 |
(㎡당) |
구 분 |
규 격 |
단 위 |
수 량 |
재료 |
stain재 |
|
ℓ |
0.2 |
코팅재 |
|
ℓ |
0.14 |
인력 |
고급기술자 |
|
인 |
0.01 |
도장공 |
|
인 |
0.012 |
장비 |
엔진식도장기 |
4.7L/min |
hr |
0.1 |
|
|
|
|
제702호 : 다중해머를 이용한 역순환방식의 대구경 천공공법
(RCMH ; Reverse Circulation Multi Hammering) |
시공절차
및
주요공정 |
케이싱 압입 및 굴착 → 대구경 천공 → 철근조립 및 삽입 → 콘크리
트 타설 |
신기술 품 |
1. 케이싱 압입 및 굴착
☞ 표준품셈 [토목 5-11-1 1. 케이싱 압입 및 굴착] 참조
2. 대구경 천공
가. 장비 및 인원편성 |
(본당) |
구분 |
명 칭 |
규 격 |
단 위 |
수 량 |
비 고 |
투입 |
적용 |
장비 |
보링기(천공장비)
공기압축기
굴삭기
크레인
RCMH Canister 강재탱크(암편처리탱크
수중펌프)
발전기
용접기 |
224kW
25.5㎥/min
0.6㎥, 무한궤도 80ton, 무한궤도
PR-20(�2,000)
25㎥
�15.24cm
150kW
DC, 200Amp
|
대
대
대
대
대
대
대
대
대 |
1
6
1
1
1
1
3
1
1 |
T2
T2
T2
T1+T3
T2
T
T
T
0.1T
|
�2,000기준
(규격에따라 적용)
굴착깊이+1.5m
|
소모
재료 |
DTH Hammer
BIT
BIT
|
PR-20(R380)
PR-20(Ø455)
PR-20(Ø500) |
개
개
개 |
4
2
2 |
소모재료
�2,000기준
(규격에따라 적용) |
인력 |
표준품셈 [토목 5-11-1 R.C.D 공법 2/가. 장비 및 인원편성]의 작업인원 참조 |
|
[주] ① 본 품은 �2,000를 기준한 것이다.
② �2,000을 기준한 DTH Hammer 및 BIT사용량은 다음을 적용한다.
|
구분 |
풍화암 |
연암 |
경암 |
해머 |
PR-20(R380) |
2000m/개 |
1000m/개 |
345m/개 |
비트 |
PR-20(Ø 455) |
200m/개 |
100m/개 |
34m/개 |
PR-20(Ø 500) |
56.8m/개 |
28.6m/개 |
9.7m/개 |
|
|
③ RCMH Canister(천공장치)와 보링기의 기계경비는 다음을 적용한다 |
구 분 |
규 격 |
시간당 손료(10-7) |
가 격(원) |
PR-20 |
Ø2000 |
3,223 |
521,600,000 |
보링기
(천공장비) |
223.8kW |
3,223 |
800,000,000 |
|
|
나. 굴착작업시간(T)
T=T1+T2+T3
T1: 장비이동 및 조립(1h), 장비해체(1h)
T2: ΣL2?�2
L2 : 지층별 굴착깊이(m), (해머그래브에 의한 굴착깊이는 제외)
�2 : 지층별 단위 길이당 굴착시간(h/m)
T3 : 로드연결 및 해체(0.5h/개소)
? 각 지층별 굴착 소요시간(�2) |
지 층 별 |
� 2,000 |
풍화암 |
0.33 |
연암 |
0.65 |
경암 |
1.85 |
|
|
|
|
|
제703호 : 굽힘철근과 탄성소켓을 주요소로 하는 단위모듈러장치를 이용한 강관/PHC
말뚝머리 보강공법 |
시공절차
및
주요공정 |
말뚝머리 절단 → 단위 모듈러장치 제작 → 덮개판 제작 → 모듈러 장
치 삽입 → 띠철근 조립 → 속채움콘크리트 |
신기술 품 |
1. 말뚝머리 절단
가. 강관파일 두부정리 |
(본당) |
구 분 |
규 격 |
단 위 |
수 량 |
자재 |
산소가스 |
기 체 |
ℓ |
113 |
액화석유가스(LPG) |
일 반 용 |
㎏ |
0.13 |
인력 |
용 접 공 |
|
인 |
0.32 |
보통인부 |
|
인 |
0.18 |
장비 |
발 전 기 |
5kW |
인 |
0.02 |
|
[주] ① 본 품은 강관말뚝 �500mm를 기준한 것이다.
② 말뚝두부보강을 위한 보강철근 및 앵커철근 가공은 현행 표준품셈 [토목
6-2-1 철근가공/보통]을 따른다.
나. PHC파일 두부정리
☞ 표준품셈 [토목 5-9-2 콘크리트 말뚝 두부정리] 참조
[주] ① 본 품은 콘크리트파일 항타 완료 후 설계높이에 맞게 자르는 품(그라인더
사용)이다.
② 말뚝두부보강을 위한 보강철근 및 앵커철근 가공은 표준품셈 [토목 6-2-1
철근가공/보통]을 따른다.
2. 단위 모듈러 장치 제작 |
(ton당) |
구 분 |
명 칭 |
규 격 |
단 위 |
수 량 |
재료 |
연강용 피복아크 용접봉 |
¢3.2mm |
㎏ |
15.71 |
산소가스 |
기 체 |
ℓ |
5,355 |
아세칠렌 |
용 접 용 |
㎏ |
2.4 |
전 력 |
|
㎾ |
107.1 |
용접기(교류) |
500A |
hr |
17.71 |
인력 |
철 공 |
|
인 |
15.26 |
보통인부 |
|
인 |
0.39 |
용 접 |
|
인 |
1.54 |
특별인부 |
|
인 |
0.44 |
|
[주] 본 품은 말뚝머리 강결보강을 위한 탄성소켓 및 기계적 장치 제작을 위한 품이다. |
3. 덮개판 제작
가. 강판절단 및 용접 |
(ton당) |
|
[주] 본 품은 덮개판 제작을 위한 품이며, 재료량은 별도 계상한다.
나. 구멍뚫기 |
(㎡당) |
구 분 |
단 위 |
수 량 |
용 접 공 |
인 |
0.0075 |
|
[주] 본 품은 �20mm의 천공을 위한 품이며, 재료량은 별도 계상한다.
4. 모듈러장치 삽입 및 조립
☞ 표준품셈 [토목 6-2-1 현장가공 및 조립/간단 조립] 참조
5. 띠철근 가공 및 조립
☞ 표준품셈 [토목 6-2-1 현장가공 및 조립/보통 가공조립] 참조
6. 속채움 콘크리트
☞ 표준품셈 [토목 6-1-2 콘크리트 펌프차 타설/슬럼프 15cm/50㎥미만] 참조
|
|
|
|
제704호 : BIM 기반 배근시공도 자동화 및 철근공사 관리시스템 |
시공절차
및
주요공정 |
가 작성 → 철근 시공상세도 작성 → 5D BIM 골조모델 기반 관리시
스템 구축 |
신기술 품 |
(ton) |
구 분 |
명 칭 |
단 위 |
수 량 |
3D BIM 기반 배근 모델링 |
S/W 시험사 |
인 |
0.02 |
KBC 근거한 철근물량 산출 |
S/W 시험사 |
인 |
0.005 |
실행원가 작성 |
S/W 시험사 |
인 |
0.005 |
철근 시공상세도 작성 |
S/W 시험사 |
인 |
0.02 |
5D BIM 골조모델 기반
관리시스템 구축 |
S/W 시험사 |
인 |
0.005 |
|
[주] ① 본 품은 일반 공동주택 구조물(벽식구조)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② 본 품은 개발된 시스템(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철근 공사의 현장관리를 위
한 품이다. |
|
|
|